최근 주식 시장의 하락이 정말로 하락장의 시작일까?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재 하락은 과거에 비해서 어떠할까요?

대표적인 시장지수인 SPY-8.5%, QQQ-12.4%인 시점입니다. (QQQ는 -10%이상으로 공식적으론 하락장 진입 이네요)

이와는 반대로 SPY는 10년동안 3배 QQQ는 5배 이상 상승 -> 정말 많이 오르긴 했네요.

 

 

하락장일까요?

과거 10년으로 보면 이러한 하락은 흔한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QQQ -35%, SPY-34% 거의 2년씩 횡보하고 떨어지고 상승하고를 반복했습니다.

역사적으로 10% ~ 30%하락은 자주 발생했습니다. 과거에도 미래에도 항상 있는일이 아닐까 합니다.

 

어떻게 대응할까?

=> 대응할게 없다.

과거에 자주있던일 이고 미래에 자주 발생할수 있는 일 이니깐 미리 준비 했다면 아무 문제 없다.

서로 상반되는 자산으로 구성해서 긴 시간에 걸쳐서 투자하면서 걱정할 일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표적인 서로 상반되는 자산구성인 '원자재/주식/채권'으로 구성하면 주식이 하락해도 다른 자산이 올라서 하락장을 견딜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SCHD + QQQ로 꾸준히 모으고 있습니다.

원자재/채권을 추가하면 좀더 안정성이 높아지겠지만, 아직은 현금흐름(월급)이 있으니 좀더 공격적인 구성입니다.

 

꾸준히 모으다 보면 어느순간 눈뭉치가 태산이 되어 있을꺼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비트코인을 채굴할 수 있는 한 가지 흥미로운 장치가 있습니다. 이 장치는 공개된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되며,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집니다. 특히,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컴퓨터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채굴기(Bitaxe)

 

핵심 기능

공개 설계: 누구나 내부 구조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변경할 수 있습니다.

독립 실행: 추가 장비 없이 무선으로 작동 가능하여 활용성이 높습니다.

사용자 맞춤 최적화: 원하는 방식으로 설정하여 성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모델과 특징

이 장치는 몇 가지 버전이 있으며, 각각 성능이 다릅니다.

기본형: 적당한 처리 속도를 가지고 있어 초보자에게 적합 중간급 모델: 에너지 소비와 성능이 균형을 이룸

고급형: 더 높은 성능을 원할 때 선택 가능

최신 기술 적용 모델: 속도가 빠르고 강력한 성능을 제공

 

장점

전력 효율이 뛰어남: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공동 개발 지원: 여러 사용자가 함께 개선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강화 기여: 개별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보안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

 

구매 및 추가 정보

이 장치는 공식 홈페이지나 다양한 온라인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사양과 요구 사항을 충분히 검토한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장치는 기술적인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관련 지식을 갖춘 사람이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하락장 왔나?  (1) 2025.03.13
개인연금저축 vs 개인형퇴직연금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0) 2024.05.23
2024 증권사 수수료 정리  (0) 2024.05.22
ETF 투자지표 정리  (0) 2024.04.16
ETF의 특징 정리  (0) 2024.04.16

1. 연금계좌란?

 - 개인연금저축과 IRP를 통합해서 연금계좌라고 함

 - 연금저축, IRP는 개별적인 하나의 상품

2. 연금계좌의 특징

- 연금계좌 가입은 시작

- 펀드나 예금에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사는 계좌를 만든 것

 (쉽게 생각해서 마트에서 가서 카트를 끌고 온 것 -> 필요한 상품을 담아야 함)

- 어떤 상품을 매수할지 스스로 결정해야 됨 (연금 계좌에 돈만 넣고 상품을 추가하지 않으면 안 됨)

3. 연금저축과 IRP의 차이점

- 가입자격

연금저축: 누구나 (어린아이도 가능)

IRP: 소득이 증명된 사람만

 

-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과 IRP 합처서 900만 원까지)

연금저축: 연간 600만 원

IRP: 연간 900 만원

case1. 연금저축 600만 원 + IRP 300만 원 = 900만 원에 대해 세액공제

case2. IRP 900만원 = 9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

case3. 연금저축 600만원 = 연금저축으로 가능한 최대치


- 인출

연금저축: 부분인출가능 (  혜택받은 세금을 다시 납부하며 인출가능)

IRP: 55세 이전 인출불가 (계좌 해지 시 혜택 받은 세금을 다시 납부하며 인출가능)

 

- 계좌 개수

연금저축: 한 금융사에서 여러 개의 계좌 개설가능

IRP: 한 금융사에서 1개의 계좌만 개설 가능

 

 

4. 어떤 상품을 담을 수 있는가?

연금저축

- 은행에서 가입하는 연금신탁 & 보험사에서 가입하는 연금저축보험: 상품을 담을 필요 없음 -> 알아서 담아줌 (선택불가)

- 증권에서 가입한 연금저축펀드: 펀드를 담을 수 있음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ETF => 위험성이 높은 펀드나, 레버러지, 인버스 펀드는 안됨)

 해외 ETF 직접 매수 불가 (국내주식시장에 상장된 해외 ETF 가능=> 국내 자산운용사가 만든 해외 ETF상품)

 

IRP

- 담을 수 있는 상품의 범위는 더욱 넓음

ex) 펀드, 예금(저축은행예금), ELB(채권), 리츠(부동산투자 상품)

 

5. 투자상품 비중

연금저축

- 100% 위험자산 투자가능

 

IRP

- 퇴직연금제도의 일환으로 연금저축보다 더욱 보수적

- 투자 비중 제한 (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

- 예금, 채권형 펀드, ELB 같은 안전한 자산을 30% 담아야 함

ex) 100만 원 중에 주식형 펀드에 70만 원, 채권형 펀드나 예금에 30만 원

 

6. 상품이 다른 이유

연금저축

- 가입한 금융회사가 취급하는 상품만 가능

ex) 마트에 갔을 경우 마트 내에 있는 상품만 살 수 있는 것과 같음

=> 한 금융사에서 여러 개 개설가능

 

IRP

금융회사끼리 계좌를 공유하는 방식

ex) 온라인 구매

=> 한 금융사에 1개의 계좌만 가능

 

7. 연금개시 (연금으로 받을 때)

연금을 받아야 하는 시점에 투자상품 인출 방법

(투자상품은 실시간 변동하기 때문에 인출해 주는 방법이 다름)

 

- 펀드(기준가격제 적용)

10분의 1만 정산해서 인출해 주고, 나머지 10분의 9는 계속운용

 

- ETF (실시간 매매)

 본인이 매도한 이후에 연금으로 신청해야 인출이 가능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하락장 왔나?  (1) 2025.03.13
비트코인 채굴기(Bitaxe)  (0) 2025.03.10
2024 증권사 수수료 정리  (0) 2024.05.22
ETF 투자지표 정리  (0) 2024.04.16
ETF의 특징 정리  (0) 2024.04.16

<증권사 선택 기준>

1. 망할가능성이 없는 증권사

   - 망하면 계좌가 없어지지는 않지만 귀찮아짐.

2. 단발성 이벤트는 의미 없음

   - 첫번째 계좌만 할인.

   - 90일 수수료 무료. 등

 

 

=========================

증권사 매매 수수료 정리기준

- 모바일

- 일반주식거래

- ETF거래

 

=========================

 

 

<초대형IB (Investment Bank): 자기자본 4조이상, 발행어음 등의 업무를 허가받은 증권사>

1. NH투자증권 (namuh)

 

2. 한국투자증권 (뱅키스)

 

3. 미래에셋증권 (M-STOCK)

 

4. KB증권 (M-able)

 

 

=========================

< 초대형IB 이외 >

1. 메리츠증권 (메리츠 SMART)

 

2. 삼성증권 (POP)

 

3. 키움증권 (영웅문)

 

4. 카카오페이증권 (카카오페이)

 

5. SK증권 (주파수)

 

6. 신한투자증권(신한SOL증권)

 

7. 하나증권 (원큐)

 

8. 토스증권 (토스)

 

9. 대신증권(크레온)

 

10. 하이투자증권 (iM하이)

 

11. 한화투자증권 (Smart M)

 

12. 신영증권 (그린)

 

13. 교보증권 (Win.K)

 

14. DB금융투자증권 (알파증권)

 

15. 유안타증권(티레이더M)

 

16. 현대차증권 (내일)

 

17. IBK투자증권 (IBK투자증권)

 

18. 유진투자증권 (SMART CHAMPION)

 

19. 다올투자증권 (다올투자증권 Fi)

 

20. 부국증권(부국증권 BEST-M Plus)

 

21. 케이프투자증권(Orda M)

 

22. 이베스트투자증권(eBEST ON)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채굴기(Bitaxe)  (0) 2025.03.10
개인연금저축 vs 개인형퇴직연금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0) 2024.05.23
ETF 투자지표 정리  (0) 2024.04.16
ETF의 특징 정리  (0) 2024.04.16
개인연금저축 정리  (1) 2024.04.16

+ Recent posts